제가 학생때의 교육과정과 지금의 과정은 다르겠지만 아마 고등학교 중에 이차함수와 접선에 관해 배울것 입니다.
저도 비슷한 유형의 문제를 많이 풀었었던 기억이 있는데요, 학생들은 대부분 이 파트를 싫어할 겁니다. 뭐 아닐수도 있겠지만 저는 별로 안 좋아했어요.
이유가 뭘까요?
보통 귀찮은 계산, 반복되는 계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.
이 글에서는 고등교육과정의 정석적인 방법부터 먼저 소개하고 그 후 제목에서 얘기한 접선을 조금 더 빨리 구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.
1. 정석적인 방법(미분 미사용)
먼저 미분을 배우지 않았다는 전제하에 사용하는 방법입니다. 먼저 $(m,n)$을 지나며 이차함수 $y=f(x)$에 접하는 직선의 기울기를 $k$라고 합니다. 그러면 접선의 식은 $y=k(x-m)+n$ 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.
$y=f(x)$와 접선은 한 점에서만 만나므로 이차방정식 $ax^2+bx+c=k(x-m)+n$ 은 중근을 가집니다. 그래서 판별식 $D=0$ 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판별식을 사용하면 $ (b-k)^2-4a(c+km-n)=0 $ 이 식은 $k$에 대한 이차방정식이므로 $k$의 값 2개를 구할 수 있고, 이는 두 접선 각각의 기울기입니다.
두 접선의 기울기를 구했고 곡선 밖의 한 점은 문제에서 주어지므로 접선의 식 두 가지 모두 완성할 수 있습니다.
이제 접점의 좌표를 구하려면 $ y=f(x)$와 두 접선을 각각 연립해 근을 구하면 그 값이 접점의 $x$좌표가 됩니다. 따라서 접점도 구할 수 있습니다.
<정리> 1.기울기 미지수 $k$를 이용해 접선의 식 나타내기 2. $f(x)=$접선의 식 으로 놓고 $D=0$ 사용해 $k$값 구하기 3. $k$값을 사용해 접선의 식 완성하기 4. 접선과 $f(x)$를 연립해 접점 구하기
<1번방식풀이> 접선을 $y=k(x-2)-1$ 라 하자. 곡선과 접선은 한점에서 만나므로 $x^2-2x+3=k(x-2)-1$ $D=(2+k)^2-4(4+2k)=0$ $k^2-4k-12=0$ $\therefore k=-2$ or $k=6$ 따라서 접선의 식은 $y=-2x+3$ , $y=6x-13$
접점을 구하기 위해 $x^2-2x+3=-2x+3$ $x^2=0$ $\therefore x=0$ $x^2-2x+3=6x-13$ $x^2-8x+16=0$ $\therefore x=4$ 접점은 $(0,3), (4,11)$
2. 정석적인 방법(미분 사용)
이번에는 미분을 사용하는 방법입니다. 접점의 좌표는 $(t, f(t))$이라고 한다면 접선의 기울기는 $f '(t)$입니다. 그러면 접선의 식은 $y=f '(t)(x-t)+f(t)$ 가 되고 이 식은 $(m,n)$을 지나기 때문에 대입을 해도 됩니다. 그래서 대입하여 나온 $n=f '(t)(m-t)+f(t)$ 은 $t$에 대한 이차방정식이므로 $t$의 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. 나온 각각의 $t$의 값을 $y=f(x)$에 대입하면 접점의 좌표가 바로 나오게 됩니다.
직선은 지나는 점 두개를 알면 식을 구할 수 있고 접점의 좌표와 곡선밖의 점은 문제에서 주어졌으니 접선의 식도 구할 수 있습니다.
<정리> 1.접점의 좌표를 $(t,f(t))$라 놓기 2. 접선의 식 $y=f '(t)(x-t)+f(t)$에 $(m,n)$대입해 $t$구하기 3. 접점의 좌표 구하기 4. 접점과 외부의 점으로 접선의 식 구하기
<2번방식풀이> 접점의 좌표를 $(t, f(t))$라 하자. $f '(x)=2x-2$ 이므로 접점을 지나는 접선의 식은 $y=(2t-2)(x-t)+t^2-2t+3$ 이 식은 $(2,-1)$을 지나므로 $-1=(2t-2)(2-t)+t^2-2t+3$ $-1=-t^2+4t-1$ $\therefore t=0$ or $t=4$ 따라서 접점은 $(0,3) , (4,11)$
$(0,3)$과 $(2,-1)$을 지나는 직선과 $(4,11)$과 $(2,-1)$을 지나는 직선을 구하면 $ y=-2x+3 $ , $y=6x-13$
3. 오늘 소개할 방법
마지막으로 이 글을 쓴 이유이자 가장 빠르다고 생각하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. 이차함수의 성질을 사용합니다.
먼저 이 방법의 원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먼저 이차함수 $y=f(x)$와 이 함수 위의 점$(t, f(t))$에서의 접선을 $y=g(x)$라고 하겠습니다.
그리고 밑에 그림처럼 $f(x)$에서 $g(x)$를 뺀 모습을 생각해주겠습니다.
잠깐 기본적인 이차함수인 $y=ax^2$을 참고하면 (아래 왼쪽그림)
$(m,0)$에서 함수까지의 높이는 $(am^2)$라고 할 수 있습니다.
이것을 위에서 얘기한 $y=f(x)-g(x)$에 적용하겠습니다. (아래 오른쪽그림)
여기서 $g(x)$는 일차함수이므로 이차항 계수 $a$는 $f(x)$의 이차항계수를 따라갑니다.